→ Lend가 많이 사용되지만 행위를하는 사용자입장의 단어인 Borrow가 더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출금, 인출, 언스테이킹, 유동성해제: Redeem, Unstake
이자 인출, 이자 받기: Claim
대출 상환: Repay
메뉴명은 메뉴가 포함하는 콘텐츠와 기능을 포괄할수 있어야한다.
어떤 용어를 메뉴명으로 사용할지는 구조를 어떻게 설계 하느냐에 따라 다르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들어 Trader Joe의 Farm과 Pool은 별도의 메뉴로 분리되어있지만
Panckae Swap은 Trade메뉴의 하위 메뉴로 Exchange와 Liquidity가 있고, Earn메뉴의 하위 메뉴로 Farms와 Pools이 있다.
개인적으로는 단순 명료한것이 좋아서 주요 기능은 하위메뉴에 넣지않는게 좋다고 생각한다.
메뉴 이름은 어떤 주제에 대한것인지 명확한 의미를 전달해야한다.
한 가지로 정의할 수 없고 여러의미로 사용되는 용어는 메뉴명으로 적절하지 않다. 예를들어 Stake는 'Farming을 위해서 Staking한다', 'Farming을 통해 얻은 토큰을 Staking한다' 처럼 디파이 내에서도 여러가지 의미로 사용되기 때문에 다른 대체용어를 사용하는것이 더 좋을 것 같다.
메뉴 구조
모 일드파밍 프로덕트의 메뉴별 기능 구조도를 그려보았다.
메뉴는 디파이 앱의 이용 절차와 관련이 있다.
절차 개선하기
서비스 이용 도중 막힘이 없도록 매끄럽게 이어지는 flow를 만든다.
같은 기능도 프로덕트 마다 이용 흐름에 차이가 있을수 있지만, 사용자를 헷갈리지 않게한다.
최대한 적은 인터랙션으로 거래 가능하도록 설계한다.
먼저 다른 사이트에서 토큰을 swap해야하는 경우, 해당 토큰 swap을 제공하는 사이트로 안내한다. (새탭, 새창으로 열기)
현재 상태나 다음 과정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띄워주면 사용자가 느끼는 복잡함을 줄일 수 있다.
"거래 승인을 기다리는중.."
다음 단계로 진행하기위해 클릭.
편의에 도움이 되는 기능을 추가합니다.
아래 기타 기능 항목 확인
사용하는 순서대로 메뉴를 구성한다.
일드 파밍을 제공하는 프로덕트에서는 [토큰 스왑]→[토큰 페어 생성(유동성 제공)]→[예치]→[재예치] 등이 일반적인 순서이다. 따라서 메뉴도 그 순서에 맞게 Swap(Trade)/Liquidity(Pool, Deposit)/Farm/Stake 가 일반적이고 어떤 기능을 제공하느냐에 따라 Vault나 Zap, Governance, Bridge, Chart 등의 메뉴를 추가할 수 있다.
렌딩을 제공하는 프로덕트에서는 [스테이킹]→[렌딩] 이 일반적인 순서이다. 따라서 메뉴도 그 순서에 맞게 Deposit/Lend 순인 경우가 많다.
예를들어 Trader Joe의 Lend메뉴클릭시 Deposit과 Borrow 목록이 한 화면에 있고,
SushiSwap은 Lending메뉴의 하위 메뉴로 Lend와 Borrow를 선택할 수 있다.
[Trader Joe - Lend] 한 화면에서 Deposit과 Borrow를 선택할수 있다.
[SushiSwap - Lending] 하위 메뉴에 Lend, Borrow로 분리되어 있다.
화면 구성
메뉴를 설명하는 메시지를 넣는다.
보통은 짧고 간결한 한 문장의 메시지를 사용하지만, 긴 설명이 필요한 메뉴도 있다.
[Yearn finance] 앱에 메뉴에 대해 설명하는 영역을 따로 마련해둠. 설명이 꽤 길다. 한 눈에 들어오지는않지만 프로덕트 특성상 설명이 없는것보다는 나으니까.
[Trader Joe - Stake] 다른 메뉴에 비해 설명이 길고, Earn more JOE라는 기능의 목적을 강조하고 있다. Stake라는 용어의 모호함 때문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Alex] 간결한 설명. 크게 눈에 띄지는 않는다.
직관적으로 다른 메뉴임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특히 Pool과 Farm, Lend는 동일하게 리스트로 나열하기보다 메뉴 구분이 쉽도록 표현과 구성에 차이를 두는게 좋다.
Trader Joe - Farm. 어떤 보상을 받는지 풀마다 쓰여 있는데, 깔끔하기는 하지만 AVAX-UST처럼 예치하는 페어 외의 다른 토큰으로 보상을 지급하는 경우 해당 Farm의 배경or 테두리를 다른 색으로 표현했다면 풀마다 보상원리가 다르다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Pool메뉴와 동일하게 리스트형태로 표현했다면 초기 사용에 혼란이 있을것 같다.
색상 차이를 두거나 배열 구성이 같지 않도록 하기
직관적인 이미지
Zap메뉴: Z와 닯은 번개모양 이미지를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음.
보상: 토큰1+토큰2, 토큰 이미지
Pool: 풀장 이미지(Trader Joe)
[Trader Joe - Pool] 풀이니까 풀장
[SpookySwap - Bridge] 고양이가 브릿지를 통과해 변화하는 모습
상세 정보 제공
어떤 정보를 제공할 것인지 결정한다.
일드파밍은 풀 별로 이자 수익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며, 기본적으로 TVL과 수익률(APY or APR)을 표기한다.
정확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보상 구성(native token or LP)과 하루(daily) 기준의 수익률을 함께 표기하기도하고, 옵션으로 선택 할수도 있다.
[Trader Joe - Farm]의 설정. APR을 전체 합으로 표시하도록 설정 할 수 있다.
경우에따라 잠금(lock up)기간, 출금(unstake)기간, 부스트 효과 등에 따라 설명이 필요하기도 하다.
몇일동안 락업할지 숫자를 선택하면 오른쪽 그래프에서 예상 APR을 볼수 있다.
정보를 어떻게 나타낼 것인지를 결정한다.
제공해야하는 정보의 양이 많고 풀 별로 비교가 쉬워야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목록화하여 정보를 나열한다.
[Yearn Finance - Vaults]
다른 방식과의 비교
DeFi는 포크가 가능하기때문에 프론트엔드, UI를 다른 프로젝트에서 재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아래와 같은 Pancake변형 Goose기반 템플릿이 대표적인데, 포크가 잦다는 것과는 별개로, 구체적인 파밍 수익률 계산에 도움이 된다는점과 해당 컨트랙트를 확인할수 있는 링크를 함께 제공하고있어서 좀 더 신뢰가 간다는 생각을 했었다. (프로젝트마다 조금씩 다름)
하지만 단점은 일렬로 목록화 한 것에 비해 풀별 수익률을 한눈에 비교하기 어렵다.
보상을 어떤 토큰으로 받는지 알기 쉽게 나타낸다.
[SushiSwap - Farm]토큰을 대표하는 이미지가 눈에 들어오고, 하루에 얼만큼의 양을 받는지 알수 있다.
모바일 화면에서 가로로 긴 컴포넌트를 이용할수 없는경우 드래그를 통해 모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것이 좋다.
편의를 위한 기능
검색기능을 제공해야한다.
수많은 유동성 풀이 있기때문에 스크롤만 내려서는 원하는 풀을 찾기가 어렵다.
토큰명으로 검색
필터를 제공한다.
토큰 종류별: 네이티브토큰/스테이블 등
풀의 활성화 유무: Active/Inactive
클릭한 속성(Column)을 기준으로 오름차순, 내림차순 정렬
속성명 옆의 화살표 표시 등으로, 클릭하여 정렬이 가능한것을 알 수 있도록 한다.
가능한 보편적인 용어를 사용하는것이 좋다. (예: 단순 예치는 Stake보다 Deposit)
기존 디파이 프로토콜과 다른 특수한 개념이 있는 경우에는 앱에서 문서 링크를 제공하거나 간단한 설명을 통해 개념을 상기할수 있도록 해야한다.
[Trader Joe - Farm] (2021.12월 기준) Pool Weight라는 용어를 사용했었으나 현재(2022.1월 말)는 더 직관적인 Joe APR로 대체되었다.
swap을 이용할때 위와 같이 낯선 용어들을 한번에 접하게 된다. 반드시 알아야하는 정보이지만 용어 설명을 위해 페이지가 글자로 가득차게되면 보기에도 좋지 않고, 처음 사용하는 입장에서 이런것들을 한번에 받아들이기 부담스럽다. 그래서 설정에서 옵셔널하게 변경할수 있게 하고 ℹ️나 ❓ 를 통해 용어에 대한 설명을 숨겨놓은 것이라는 생각이든다.
기타 기능
기능을 어디에 배치할 것인지 고려해야한다.
스왑
스왑을 직접 제공하지 않아도 스왑메뉴를 만들고, 네이티브 토큰의 유동성이 높은 사이트와 스왑 메뉴를 연결한다. 스왑 → 유동성공급 등의 절차대로 이용할수 있도록 하기위함이다.
차트
Chart 메뉴로 분리하거나 Swap 메뉴에서 제공한다.
[Trader Joe - Swap] 간단한 차트. 최소 5분 단위
[SpookySwap - Swap] Expert Mode 활성화시 나오는 트레이딩뷰
[PancakeSwap - Trade] 트레이딩뷰와 베이직 뷰 선택이 가능하고 화면 확장도 된다.
별도의 메뉴로 분리하는 경우에는 Analytics메뉴로 대체할수 있다.
하지만 애널리틱스는 별도 사이트로 만들어 지는 경우가 많다.
애널리틱스 메뉴는 본 서비스 메뉴에 대응되는 메뉴(토큰, 풀, 파밍, 스테이크, 렌딩)로 구성되므로 페이지를 따로 만들기보다는 해당하는 메뉴에서 토글로 애널리틱스 모드 전환이 가능하게 하면 어떨까한다.